고화질(HD) DMB 서비스가 시작된다. 지상파 DMB 시청자의 지속적 화질 개선 요구에 부응할 지 주목된다.
지상파DMB특별위원회는 1일부터 유원미디어, 한국DMB, YTN DMB가 HD DMB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31일 밝혔다.
비지상파 계열과 달리 KBS·MBC·SBS는 HD DMB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 반쪽짜리 서비스란 지적도 나온다. HD DMB는 기존 일반화질(SD)급 DMB 방송보다 2배 이상 많은 픽셀을 가지고 있어 선명한 방송 시청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SD는 640×480 해상도를, HD는 1280×720 해상도를 의미한다. HD DMB가 시작되면 화면 내 작은 글씨도 깨끗한 화면으로 볼 수 있다. 지상파DMB특별위원회 관계자는 “기존 일반 DMB는 작은 화면에서 자막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해상도가 떨어졌다”며 “HD급으로 서비스되면서 DMB 시청자도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고를 제외하고 마땅한 수익이 없어 적자를 지속한 면치 못한 비지상파 계열 3사는 HD DMB 서비스로 신규 수익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유원미디어 등 3사는 스마트폰 등 단말기 로열티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스마트폰 등에 수신제한시스템(CAS64)을 적용해 단말기 당 일정 금액을 받는 방식이다. 연간 100억원 이상 수익이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차량 내비게이션에서도 HD DMB 시청이 가능해진다. DMB 방송사업자는 파인디지털·팅크웨어 등 차량 DMB 단말기 제조사와 계약을 맺었다. HD 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SW)와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골자다.
아이폰 등 외산 스마트폰은 케이스형 안테나를 장착해 HD DMB를 볼 수 있다. 스마트폰 액세서리 제조업체 모바일앤유는 다음달 HD DMB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와 칩셋을 장착한 아이폰용 케이스를 출시한다. 이 뿐만 아니라 중국 중저가 스마트폰으로도 HD DMB 시청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추가 기기가 개발될 것으로 내다봤다.
HD DMB 서비스를 계기로 지상파 DMB 수신 환경이 이전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아쉽다는 반응도 상당하다. 방송업계 관계자는 “지상파 방송사가 내부적으로 HD DMB 서비스를 검토한다고 하지만 언제 서비스가 가능할지는 묘연하다”며 “HD DMB를 통해 재난 방송을 보려면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 등 지상파 방송사 참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보안 강화, 윈도우 잉크 기능 추가, 엣지 전력 효율 향상 등 새롭고 강력한 기능 대거 탑재
윈도우 10 사용자는 8월 2일부터 업데이트 가능
윈도우 7 및 8.1 사용자는 7월 29일까지 윈도우 10으로 무료 업그레이드 후 업데이트 가능
2016년 6월 29일– 마이크로소프트는 오는 8월 2일(미국 현지 시간) 윈도우 10 1주년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이번 업데이트는 윈도우 잉크(Windows Ink) 및 코타나(Cortana) 등과 같은 핵심 기능 업데이트에 더불어,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 브라우저의 성능 및 효율 개선, 일반 사용자 및 기업 사용자를 위한 보안 기능 향상, 신규 게임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윈도우 10은 출시 이후 3억 5천만대 이상의 디바이스에 설치되었으며, 현재까지 사용된 시간을 총 합치면 약 1350억 시간에 이른다.
보안 기능 추가 – 역사상 가장 안전한 윈도우
역사상 가장 안전한 윈도우10은 데이터 및 개인 정보 유출, 계정 정보 탈취 등 매일 발생하는 2억 5천만 개 이상의 온라인 위협으로부터 더욱 안전한 윈도우 환경을 제공한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윈도우 헬로우(Windows Hello) 및 윈도우 디펜더(Windows Defender)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생체 정보를 통해 윈도우에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인 윈도우 헬로우는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윈도우 앱 및 엣지에도 적용되었다. 즉, 웹 사이트에 일일이 패스워드를 넣고 로그인 하는 대신 엣지에서 헬로우 기능을 활용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웹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무료 악성코드 방지 서비스인 윈도우 디펜더 기능도 향상되었다.
기업 고객들을 위해서는 크게 2가지 보안 기능이 향상되었다. 첫째로 윈도우 디펜더 ATP(Windows Defender Advanced Threat Protection, WDATP)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전세계 70개국 300개 이상의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70만개 이상의 엔드포인트에 적용되어 네트워크의 악성 공격을 탐지, 조사 및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번 업데이트는 사고로 인한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윈도우 정보 보호(Windows Information Protection, WIP)기능을 제공한다. WIP는 개인 데이터와 기업 데이터를 분리하는 기능과 기업의 데이터가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윈도우 잉크로 터치스크린과 펜 기능을 더 강력하게
윈도우 잉크
이번 업데이트에 최초로 적용되는 윈도우 잉크(Windows Ink)는 펜을 지원하는 앱과 관계 없이 바탕화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면에서 메모, 스케치 등 원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오피스나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혹은 지도 앱에서 지원하는 새로운 잉크 전용 기능으로 워드 및 파워포인트 작업을 좀 더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더욱 인텔리전트 해진 코타나 디바이스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쉽게 음성인식 개인 디지털 비서인 코타나를 불러올 수 있다. 디바이스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더라도 질문, 음악 재생, 알림 세팅 등이 가능하다. 자주 이용하는 항공편, 주차된 장소 등 주요 정보를 기억해 두었다가 알려주는 기능이 향상되었으며, 디바이스에 상관 없이 통합된 디지털 비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배터리는 적게 쓰고, 기능은 향상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이번 업데이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브라우저의 전력 효율은 더욱 높아지고, CPU 및 메모리 소모는 더욱 낮아졌다.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배터리 조건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는 구글 크롬보다 3시간 이상 더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참조자료는 윈도우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스토어에서 확장 기능을 선택하면 핀터레스트(Pinterest)의 저장 버튼, 아마존 쇼핑도우미 등을 엣지에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엑스박스 플레이 애니웨어로 PC와 콘솔을 한번에 엑스박스 플레이 애니웨어(Xbox Play Anywhere) 프로그램을 통해 한번 구매한 게임을 윈도우 10 PC 및 엑스박스 원(Xbox One)에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점수 등 게임 관련된 데이터도 모두 공유된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튜디오에서 발매된 신규 게임 타이틀은 모두 엑스박스 플레이 애니웨어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윈도우 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다. 원하는 게임을 더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예약 주문, 예약 다운로드, 엑스박스 라이브 골드(Xbox Live Gold) 같은 구독형 서비스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교육용 디바이스 관리 앱으로 스마트 교실도 손쉽게 학교에서 사용되는 교육용 디바이스들을 간편하고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앱이 추가된다. ‘교육 기관용 PC 셋업(Set up School PCs)’ 앱을 사용하면 IT팀의 지원 없이도 선생님 스스로 3단계만 거치면 간편하게 디바이스를 세팅할 수 있다. IT 지원이 가능한 학교에서는 윈도우 이매지닝(Windows Imaging) 및 컨피규레이션 디자이너(Configuration Designer) 툴을 활용하면, 대량의 디바이스도 단 몇 분 내에 한꺼번에 셋업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기반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테이크 어 테스트(Take a Test) 앱도 추가된다. 교육용 관리 앱은 유료로 제공될 예정이다.
기존 윈도우 10 사용자들은 8월 2일(미국 현지 시간)부터 이번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윈도우 7 혹은 윈도우 8.1을 사용 중이라면 2016년 7월 28일까지 무료로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므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더 자세한 사항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7 시리즈가 한창 팔리고 있는 요즘 시기에 난데없이 구형 제품인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가 인기를 끌고 있다. 단말기의 구매 가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시지원금 제한이 풀리면서 저렴하게 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갤럭시S6 시리즈가 구형이라고는 하지만 아직도 어지간한 보급형 스마트폰보다는 성능이 훨씬 좋은 것도 인기의 요인이다.
현행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이하 단통법) 하에서 공시지원금은 최대 33만원을 넘을 수 없지만, 출시 15개월이 지난 제품은 이 제한에서 벗어난다. 작년 4월 10일에 출시된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의 출고가는 아직도 70만원 근처다. 하지만 이달부터 출시 15개월을 맞이하며, 지난 16일, SK텔레콤을 시작으로 통신사지원금이 크게 올라 59요금제를 이용하면 10만원대의 할부원금(실구매가)에 살 수 있게 되었다. 같은 날 KT와 LG유플러스 역시 비슷한 규모의 공시지원금을 제공, 전국적으로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의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보안업체 하우리는 윈도 바로가기 파일을 이용한 신종 랜섬웨어(중요 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가 발견됐다고 20일 밝혔다.
이 랜섬웨어는 문서 아이콘으로 위장한 윈도 바로가기(LNK) 파일로, 스팸 메일에 첨부돼 유포되고 있다.
사용자가 메일을 클릭하면 PC에 악성 자바스크립트(JS) 파일을 생성해 워드파일(DOCX)과 랜섬웨어(EXE)를 실행한다. 하지만 사용자에게는 정상 문서파일을 보여줘 감염 사실을 숨긴다.
하우리 이경민 주임연구원은 "기존 랜섬웨어는 악성 스크립트(.js, .vbs, .wsf 등)나 악성 매크로가 삽입된 문서파일을 이용했지만, 이번에는 윈도 프로그램의 빠른 실행을 도와주는 바로가기 파일을 이용했다"며 "공격자들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며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