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다운기자] PC D램 가격이 21개월 만에 상승전환했다. 1일 키움증권은 하반기 반도체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조사기관 D램 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지난 7월 PC D램 평균 가격은 전달보다 3.9% 상승한 Gb당 0.41달러로 2014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에 상승 반전했다.
모듈 가격은 공급 감소가 두드러진 DDR3 4GB 6.0% 급등했고, DDR4 4GB는 1.9% 상승전환했다.
박유악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공급 감소에 따른 PC D램의 수급 개선이 나타났으며, 하반기 수요 성수기 동안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조사기관 D램 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지난 7월 PC D램 평균 가격은 전달보다 3.9% 상승한 Gb당 0.41달러로 2014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에 상승 반전했다.
모듈 가격은 공급 감소가 두드러진 DDR3 4GB 6.0% 급등했고, DDR4 4GB는 1.9% 상승전환했다.
박유악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공급 감소에 따른 PC D램의 수급 개선이 나타났으며, 하반기 수요 성수기 동안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서버 DIMM 의 평균 가격은 0.53달러로 전달보다 1.5% 하락하며 하락 폭이 크게 줄었다.
박 애널리스트는 "중국과 북미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센터의 강한 수요 회복이 서버 D램의 공급량 증가를 흡수했다"며 "하반기 내 안정적 가격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7월 낸드플래시의 평균 고정가격은 Gb당 0.03달러로 전달보다 2.76% 올라, 지난 달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화권 스마트폰 업체에 이은 애플의 재고축적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MLC 제품의 재고가 큰 폭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스마트폰과 더불어 PC와 기업체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수요 급증이 나타나고 있어, 남은 하반기 동안 낸드의 가격 안정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애널리스트는 D램과 낸드의 업황 개선이 빠르게 나타남에 따라 수혜가 예상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및 장비·소재·부품 업종에 대한 적극적인 비중 확대를 추천했다.
장비 업종 중에서는 원익IPS, 테스, 테라세미콘을 꼽았고, 소재는 SK머티리얼즈, 솔브레인, 원익머트리얼즈, 부품은 에스앤에스텍, 실리콘웍스, 리노공업을 각각 추천했다.
'최신정보 >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850 ssd 시리즈 2TB ,4TB 제품 출시 (0) | 2016.07.06 |
---|---|
SKT, 로밍 요금제 재편 (0) | 2016.07.06 |
SK텔레콤, 모바일 내비 'T맵' 전국민에 무료로 푼다 (0) | 2016.07.06 |
단말기 하나로 2개 번호 사용…'갤럭시노트7' 듀얼심 모델 나온다 (0) | 2016.07.06 |
애플 '아이폰7' 골드 이렇게 생겼다.. 실사진 유출 (0) | 2016.07.06 |